📌 기업 개요
BYD(비야디)는 1995년 중국 심천에서 출범한 글로벌 전기차 및 배터리 전문 기업으로, 2022년부터 세계 전기차 판매 1위를 기록 중입니다. 전기차뿐 아니라 버스, 트럭, 배터리, 반도체,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 다양한 친환경 산업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왜 한국에 진출했을까?
- 전기차 고성장 시장: 한국은 2024년 기준 친환경차 판매 비중이 약 30%로, 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전기차로 전환 중입니다.
- 가성비 수요 증가: 현대·기아의 프리미엄 모델 외에도 실속 있는 전기차를 찾는 수요가 커지고 있습니다.
- 글로벌 전략 거점: 한국은 배터리 및 자동차 산업의 핵심 국가로, 일본·동남아 확장을 위한 브랜드 신뢰 확보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BYD 한국 출시 모델 3종
모델명 | 차급 | 주행거리(WLTP) | 특징 | 출고가 |
---|---|---|---|---|
아토3 | 소형 SUV | 420km | 블레이드 배터리, 유럽 NCAP ★★★★★ | 3,150~3,330만 원 |
씰(SEAL) | 중형 세단 | 미공개 | 스포티한 고성능 | 출시 예정 |
씨라이언7 | 중형 SUV | 미공개 | 넓은 공간, 첨단 사양 | 출시 예정 |
✅ 전기차 보조금 수령 가능 여부는?
BYD의 전기차는 환경부의 전기차 보급대상 평가를 통과하여 2025년 기준 국고 보조금+지자체 보조금 모두 수령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아토3(Atto 3)는 보조금 적용 시 2,000만 원대 후반의 실구매가로 책정됩니다.
이는 동급의 현대차 코나 일렉트릭 대비 1,000만 원 이상 저렴한 수준으로, 가성비 측면에서 매우 경쟁력이 있습니다.
📊 BYD vs 현대차 vs 테슬라 비교
항목 | BYD | 현대차 | 테슬라 |
---|---|---|---|
대표 모델 | 아토3, 씰 | 아이오닉5, 코나EV | 모델3, 모델Y |
가격대 | 2,800만 원~ | 3,900만 원~ | 5,000만 원~ |
배터리 | LFP 블레이드 | NCM 삼원계 | 4680 셀 |
자율주행 | ADAS | HDA2 | FSD(개발 중) |
🛠 서비스망 현황
BYD는 현재 15개 전시장, 11개 서비스센터를 운영 중이며, 2026년까지 전국 70개소 이상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외산 브랜드 중 가장 빠른 확장 속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결론
BYD는 단순히 '중국산 저가차'가 아니라, 가성비+성능+기술력을 갖춘 글로벌 전기차 강자로 부상 중입니다.
보조금 수령이 가능해진 지금, 2,000만 원대 실구매 전기차를 원하는 소비자라면 BYD는 분명 주목할 브랜드입니다.
앞으로 현대차, 테슬라와의 전기차 경쟁 구도 속에서 BYD가 어떤 파장을 일으킬지 주목해봅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관심 ❤️ 공감 👍 댓글 💬은 다음 글을 쓰는 데 큰 힘이 됩니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한국형 AI 개발, 야당은 왜 반대하고 있을까? (1) | 2025.04.18 |
---|---|
💼 잡코리아, 9,000억 원에 매각…그 이후의 변화는? (2) | 2025.04.17 |
🧨 국민연금 펑크 현실화?|2025 개정안과 구조적 문제 완벽 정리 (1) | 2025.04.11 |
🏗️ “2025년 시멘트 재고 350만 톤 돌파”…건설 경기 침체가 만든 최악의 위기 (1) | 2025.04.10 |
📈 2025년 물가 인상 직격탄! 음식료·외식 업계 '가격 줄인상' 총정리 (2)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