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행동주의 펀드가 바꾸려는 한국, 상법 개정이 필요한 이유

Antnator 2025. 5. 28. 17:55

⚠️ 본 글은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 작성자는 특정 기업 또는 펀드와 아무런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 본 글은 공시자료 및 언론보도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투자 전 각종 공시와 IR 자료 확인이 필요합니다.

💡 투자에 따른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행동주의 펀드, 한국 기업을 바꾸고 있는가?

행동주의 펀드는 단순한 투자자가 아니라 기업 경영에 적극 개입해 지배구조 개선, 주주환원 강화 등을 추구하는 투자자입니다. 최근 한국에서도 그 영향력이 커지며 의미 있는 변화들을 이끌고 있으나, 여전히 제도적인 한계와 소액주주의 배제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 한국 주요 사례 요약

행동주의 펀드 대상 기업 요구 내용 성과
KCGI 한진칼 이사회 독립, 자산매각 경영권 분쟁, 지배구조 이슈 부각
밸류파트너스 오스템임플란트 자사주 매입, 배당 확대 지배구조 개선위원회 도입
프리미어파트너스 KT&G 배당 상향, 자사주 매입 50% 배당 정책 발표
얼라인파트너스 SM엔터테인먼트 지배구조 투명화 이수만 퇴진, 카카오 경영 참여

본 데이터는 DART, 언론보도, 기업 IR자료 기준입니다. 최신 공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 최신 사례: 한국앤컴퍼니 – 소액주주 무시 논란

2024년 얼라인파트너스는 한국앤컴퍼니(한국타이어 지주사)에 대해 지배구조 개선과 배당 확대를 요구했으나, 대표이사 연임 및 친인척 사내이사 선임 강행이라는 결과를 마주했습니다.

주주총회에서 얼라인 측 안건은 모두 부결됐고, 소액주주들은 대주주 중심의 경영 방식에 강한 박탈감을 호소했습니다. 이는 상장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오너일가 사기업처럼 운영되는 구조의 단면을 보여줍니다.

⚖️ 왜 상법 개정이 중요한가?

현재 상법은 소액주주와 행동주의 펀드에게 불리한 구조로 되어 있어, 기업 경영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기 어렵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상법 개정 논의가 최근 국회에서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 주요 개정 방향 요약

  • 🔹 집중투표제 의무화: 소액주주도 이사 선임 시 영향력을 가질 수 있도록
  • 🔹 전자투표 의무화: 물리적으로 참석 못하는 소액주주도 참여 가능
  • 🔹 주주제안권 요건 완화: 기존 '발행주식총수 1%'에서 0.1%~0.5%로 완화 추진
  • 🔹 감사위원 분리 선출: 오너일가가 감사위원을 독식하지 못하도록 차등투표 도입

이러한 제도들이 통과되면 소액주주도 경영 감시에 실질적 영향력을 가질 수 있고, 주주환원 정책도 기업이 무시하기 어려운 구조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 결론: 행동주의는 성장 중, 제도는 아직 갈 길이 멀다

행동주의 펀드는 한국 자본시장의 투명성과 신뢰를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지만, 상법 개정 없이는 소액주주 권익이 보호받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단순히 기업을 비난할 것이 아니라, 제도적 틀 자체를 변화시켜야 근본적인 변화가 가능합니다.

 

🧩공감과 댓글은 작성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