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분석은 매수/매도 추천글이 아닙니다. 작성자는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을 수 있으며, 실제 데이터와 다를 수 있으니 관련 홈페이지에서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매수/매도는 본인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책임도 개인에게 있습니다.
기존INZOI 분석 글 - 🎮크래프톤 'inZOI' 완전 분석🎮
🎮 글로벌 게임 강자, 크래프톤 기업 분석
🏢 기업 기본 정보
- 설립 연도: 2007년
- 주요 사업: 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
- 대표 게임: 배틀그라운드, 뉴스테이트 모바일, 서브노티카
- 개발 스튜디오: 12개 운영
- 해외 매출 비중: 약 95%
💹 현재 주가 정보
- 종목 코드: 259960
- 현재 주가: 331,500원 (2025년 3월 31일 종가 기준)
- 시가총액: 약 16조 262억 원
📊 사업 부문 및 매출 비중
크래프톤은 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을 주력으로 하며, 대표작인 배틀그라운드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 📱 모바일 게임 매출: 1조 2,448억 원 (전체 매출의 약 65%)
- 🖥️ PC 게임 매출: 5,839억 원 (전체 매출의 약 30%)
- 📦 기타 매출: 819억 원 (전체 매출의 약 5%)
🧠 인공지능 & 신작 프로젝트 현황
크래프톤은 최근 몇 년간 '게임 너머'의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AI 기반 인터랙티브 콘텐츠'와 '서사 중심의 신작 게임' 개발에 공격적으로 투자 중입니다.
- 🧠 AI 스튜디오: 2023년 신설된 크래프톤 AI센터에서는 대화형 AI 캐릭터, 가상 세계 구현 기술을 연구 중이며, '비언어적 감정 표현' 기술과 '멀티모달 인터랙션'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 프로젝트 '골렘': 대화형 시네마틱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로, 게임과 영화를 결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 프로젝트 '블랙버젼': SF 배경의 신작 FPS 게임으로, 글로벌 FPS 시장을 정조준하고 있는 타이틀입니다.
- 🧙♂️ 다중 장르형 IP 구축: 2024년부터 신규 IP 발굴을 위해 RPG, 어드벤처, 싱글플레이 중심 콘텐츠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 🏙️ 인조이(inZOI): 2025년 3월 28일 얼리 액세스 출시 예정인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실제 세계를 바탕으로 한 자유도 높은 생활형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 수주 잔고
현재 크래프톤의 수주 잔고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는 공개되어 있지 않습니다.
💰 최근 3년 주요 재무 지표
※ 재무 관련된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니 네이버 증권 또는 DART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항목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매출액 | 2조 7,098억 원 | 1조 9,106억 원 | 1조 8,540억 원 |
영업이익 | 1조 1,825억 원 | 7,680억 원 | 7,516억 원 |
순이익 | 1조 3,061억 원 | 5,954억 원 | 5,002억 원 |
부채비율 | 15.97% | 15.86% | 18.01% |
PER | 11.51배 | 15.84배 | 16.48배 |
PBR | 정보 없음 | 1.69배 | 1.61배 |
🏦 주요 주주 현황
- 👤 장병규 외 31인: 36.62%
- 🇭🇰 IMAGE FRAME INVESTMENT(HK) LIMITED: 13.86%
- 🇰🇷 국민연금공단: 7.10%
- 🏢 자사주: 5.18%
🌍 시장 점유율 및 경쟁사 비교
배틀그라운드는 글로벌 배틀로얄 장르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모바일 버전은 글로벌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매출 상위권을 유지 중입니다. 주요 경쟁사로는 에픽게임즈(포트나이트), 액티비전(콜 오브 듀티: 워존) 등이 있습니다.
🏦 재무 안정성 평가
크래프톤은 회사채를 발행하지 않으며, 부채비율이 20% 미만으로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이는 탄탄한 현금 흐름과 보수적인 재무 운영을 기반으로 높은 재무 안정성을 시사합니다.
📈 산업 성장률 및 전망
- 🇰🇷 국내 게임 산업 성장률: 연평균 7.7%
- 🌐 글로벌 게임 산업 성장률: 연평균 3.4% (2025년까지 2,112억 달러 규모 예상)
⚠️ 리스크 요인
- 🕹️ 신작 부진: 2022년 출시한 '칼리스토 프로토콜'의 부진 사례처럼 신작 성패가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침.
- 🔗 IP 의존도: 배틀그라운드 IP에 대한 매출 의존도 여전히 높음.
- 📉 중국 게임 시장의 불확실성: 판호 발급 정책 변화 등으로 인한 변수 존재.
📰 최근 주요 기사
- 📌 [2025.03.28] 크래프톤, 인조이 얼리 액세스 출시…“AI 적용해 리얼한 상호작용 가능” – https://www.infostock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6617
- 📌 [2025.02.10] [공시분석] 크래프톤, '배그' 잇는 히트작 절실…5년간 1조5000억원 신작 투자 – https://alphabiz.co.kr/news/view/1065573265573207
🔍 결론 및 종합 전망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를 기반으로 글로벌 게임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재무 구조도 매우 안정적입니다. 최근에는 AI 콘텐츠 및 신규 IP 개발을 통해 성장의 외연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는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장점: 높은 영업이익률, 낮은 부채비율, 강력한 글로벌 IP
단점: IP 집중 리스크, 신작 성과 변동성
✍️ 공감과 댓글은 작성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유상증자 완전정복: 주식 투자 전에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 (3) | 2025.04.02 |
---|---|
💉 “자가혈당측정기 1위 기업 아이센스, CGM 시장 진출 본격화!” (2) | 2025.04.02 |
🧠 “17조 돌파한 신용잔고”|이 숫자가 시장에 주는 진짜 의미는? (2) | 2025.03.31 |
🔍 2025년 최신! 금융투자협회에서 신용잔고 확인하는 방법 (1) | 2025.03.30 |
📉 대차잔고로 보는 공매도 타깃! 시가총액별 TOP10 기업 공개 (1) | 2025.03.30 |